1. 운송실적 정보
지난해 항공교통서비스 이용객은 총 3천 636만명으로, 우리 국민 2명 중 1.4명이 항공기를 이용하였으며, 이는 전년 대비 7.7%, ’19년 대비 70.5% 감소한 것으로, 최근 10년 중 최저치를 기록하였다.
국내선 이용객은 3천 315만 명으로 전년 대비 31.7%, 2019년 대비 0.5%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의 실적을 보인 반면, 국제선 이용객은 321만 명으로 전년 대비 77.5%, 2019년 대비 96.4% 감소하였기 때문이다.
한편, 전년 대비 대형항공사의 여객수송실적은 12.1% 증가, 저비용항공사는 41.3% 증가하였는데, 이는 저비용항공사가 급감한 국제선 운항 대신 국내선 공급좌석 수를 크게 확대하였기 때문이다.
(‘20년 65.7백만→ ’21년 81.1백만)
2. 정시성 정보
[ 국내선 ]
‘21년 국내선 정시율은 92.4%, 지연율(30분 초과)은 6.7%, 결항률은 0.9%를 차지하였다.
국내선 지연율은 전년대비 운송실적 증가(+31.7%)에 따라 2.3%p 증가하였으나, ‘19년 대비 5.0%p 감소하여 국제선 운항 횟수의 감소로 공항 내 혼잡이 적은 영향으로 분석되었다.
* (지연율) ’17년 12.0% → ’18년 13.4% → ’19년 11.7%→ ‘20년 4.4% → ’21년 6.7%
‘21년의 경우 플라이강원의 지연율이 1.6%로 가장 낮은 반면, 에어서울이 13.2%로 가장 높은 지연율을 기록하였다.
지연사유는 모든 항공사에서 접속 지연사유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, 국토부의 항공기 지연운항 개선 T/F를 통해 마련된 첫 출발편 정시성 집중관리, 운항 여유시간(1시간) 확보 등 지연 감소방안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.
* (접속) ’17년 91.7% → ’18년 90.5% → ’19년 89.0%→ ‘20년 80.4% → ’21년 77.4%
국내선 결항은 총 3,521건으로, 전년 대비 0.05%p 증가하였다. 주요 결항사유는 기상에 의한 영향, 항공기 연결 접속 순으로 에어프레미아가 0.37%로 가장 낮은 결항률*을 보였다.
* 에어프레미아 0.37%, 제주항공 0.54%, 티웨이항공 0.70%, 아시아나항공 0.81%, 에어부산 0.87%, 대한항공 0.90%, 에어서울 0.93%, 진에어 1.34%, 에어로케이 1.90%, 플라이강원 2.30%
[ 국제선 ]
‘21년 국적사의 국제선 정시율은 97.3%로, 지연율(1시간 초과)은 2.7%, 결항률은 0.07%를 차지하였고, 외국적항공사의 국제선 정시율은 96.3%, 지연율은 3.5%, 결항률은 0.21%로 나타났다
국적사의 경우, 전체 항공사의 지연율은 ’20년 대비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.
저비용항공사의 지연율이 증가하였으나, 국제선 운항편의 대부분이 대형항공사에 의해 이뤄져(92.7%) 영향이 미미하고, 국제선 운항 횟수의 감소로 인천공항의 혼잡도가 낮아져 대형항공사의 지연율이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.
외국적항공사 중에서는 ‘21년 500회 이상 운항한 8개사 중 싱가폴항공이 0.8%로 가장 낮고, 델타항공이 3.8%로 가장 높았다.
* 플라이강원, 에어로케이, 에어프레미아는 국제선 미운항
국제선 결항은 국적사 중 에어서울이 1.45%로 가장 높았으나, 결항건수 모두 기상에 의한 결항으로 높은 결항률이 기록되었다.
외국적항공사는 ‘21년 500회이상 운항한 외국적항공사 8개사 중 델타항공이 0.27%로 가장 높았다.
[ 인천공항 지연시간 측정 ]
’21년에는 앞으로 도입될 국제 통용 지연기준을 시범 조사하기 위해 지연 측정기준을 기존 활주로 이륙ㆍ착륙 기준에서 게이트 출발ㆍ도착 기준으로 변경하고, 인천공항의 지연율 변화를 분석하였다.
* 활주로 이륙착륙 기준은 국내선 30분, 국제선 60분을 초과시 지연으로 측정하고,게이트 출발도착 기준은 국내선국제선 모두 15분을 초과시 지연으로 측정
현행 활주로 이착륙 기준의 국제선 출발 지연율*은 2.1%이었으나, 새로운 기준인 게이트 출도착 기준(15분 초과 지연)으로 변경 시 4.6%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. * 60분 초과 지연된 항공편의 비율
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5분 초과~60분 이내 이륙한 항공편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, 게이트 출발 후 지상활주 및 이륙대기 시간이 지연율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.
3. 이용자 피해 신청절차 정보
‘21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항공 관련 피해구제 접수건수는 484건으로 전년 대비 약 81% 감소하였다.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운항 횟수 및 이용자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기 때문이다.
피해유형별로는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항공권 계약해제 및 환급 요구 사례가 대부분으로, 취소환불위약금 관련 피해가 407건(84.1%)으로 가장 많았으며, 지연결항 피해가 30건(6.2%)으로 2위를 차지했다.
특히, 코로나-19 이후 외항사의 응답 지연 등 대응이 미흡하여 이용자 백만명당 피해구제 접수건수 환산 시 국적사가 3.3건인 반면 외항사는 187.0건으로 집계되었다.
국적사 중 이용자 백만명당 피해구제 접수건수는 티웨이항공이 4.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, 제주항공이 1.5건으로 가장 적었다.
항공이용 시 발생한 피해는 항공사, 한국소비자원(☏1372), 공항공사, 국토교통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문의 또는 접수할 수 있으며, 항공사와 상호협의를 통한 합의,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등을 통해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.